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BS 온라인 클래스
- zoom참가자 관리
- 다이어트
- 운동 심리학
- 스포츠 심리학
- 체육 진로
- zoom
- 스포츠 심리 상담사
- 스포츠 언론인
- EBS 온라인 클래스 가입
- 스포츠 사회학
- 심리학 진로
- 운동심리학과 진로
- 체육 관련 직로
- zoom사용법
- 체육관련 직업
- 알파맨 멀티비타민
- 스포츠 사회학과 진로
- 체육진로
- 스포츠 경영자
- 스포츠 행정가
- 마이프로틴코리아
- zoom수업 개설하기
- zoom화면 공유하기
- 개인 심리 트레이너
- 체육과학 연구원
- zoom화상회의
- 마이프로틴
- 스포츠 심리 연구원
- zoom화상수업
- Today
- Total
운동화 신은 사람들
'3대 운동' 1편 바벨 훈련의 중요성[3대운동/스쿼트/벤치프레스/데드리프트/바벨/덤벨/홈트] 본문
스트렝스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트렝스다. 우리는 물리적 존재이기 때문에 비슷한 조건에서 스트렝스(힘)이 강한 사람이 더 많은 것을 누리며 더 행복할 수 있다. 100세 시대에 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건강한 삶이다. 아무리 오래 살아도 건강하지 못하다면 삶의 많은 것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잃어 버리는 것이다. 우리의 몸이 존재 자체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식적인 노력은 우리 몸의 질적인 측면을 상당 부분 좌우하는데, 물려받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면 알맞은 자극을 주어야 한다. 그 자극은 다름 아닌 운동이다.
바벨 훈련의 중요성
그렇다면 왜 바벨 훈련인가? 머신에서의 고립운동이 쓸모없었던 이유와 바벨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이유는 근복적으로 다르지 않다. 하나로 움직이게끔 설계되었고, 하나로 훈련받고 싶어 한다는 뜻이다. 바벨 운동은 이 세상 어떤 훈련법보다도 우수하다. 최대 가동범위에 걸쳐 제대로 실시한 바벨운동은, 우리 몸의 근골격계가 하중을 실은 상황에서 기능적으로 어떠한 표현을 하는지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팔다리는 얼마나 긴지, 근육은 어디 붙어 있는지, 스트렝스는 얼마나 강한지, 근신경계는 얼마나 효율적인지와 같은 요소는 사람마다 다른 움직임의 특성에 포함되며, 바벨운동은 이러한 개별 요소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결국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은 몸이며, 바벨은 그러한 몸 본연의 움직임을 해치지 않으면서 하중을 실어 주는 도구 역할을 한다.
바벨 운동은 우리 신체의 모든 코어근육을 단련하는 움직임을 포함한다. 코어 근육이란 말 그대로 인체의 중심(core)부인 척추, 골반, 복부를 지탱하는 근육이다. 일반적으로 등, 복부, 엉덩이, 골반 근육을 말한다. 코어 근육이 강화되면 나이가 들어도 등이 휘지 않고 곧은 자세를 갖출 수 있다. 코어근육의 강화는 허리나 목의 통증, 디스크 질환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바벨운동은 머신운동과 다르게 능동적으로 조정력을 요구한다. 바벨운동이 머신운동과 다른 점은 머신운동은 몸의 움직임을 머신의 디자인에 억지로 끼워 맞춘다는 것이다. 머신운동은 생체역학적으로 움직임을 결정하는 동작 패턴을 머신이 결정하기 때문에 몸을 이루는 부위의 길이에 따라 미세한 조정을 가할 수 있는 바벨과 비교해 보면 차이는 극명해진다. 반면 바벨은 조정을 능동적으로 요구한다. 바벨에 걸친 중량을 통제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조정은 필수적이다. 바벨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제력과 균형감각과 협응력은 머신 훈련에 없다. 바벨이 오르내리며 그리는 궤적에 사람의 통제가 개입되고 그러한 바벨의 저항을 컨트롤 하는 힘이 곧 훈련에 포함된다. 저항을 느끼며 바벨을 통제하는 과정이 곧 바벨운동의 효과라는 것이다.
한편, 바벨운동의 단점이라고 한다면 정확한 자세를 봐줄 사람이 없다거나 제대로 된 운동을 할 줄아는 사람이 주위에 잘 없다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포스팅에 이어 3대 운동의 기본과 원리, 그리고 자세에 대해 구체적으로 포스팅할 예정이다.
출저: 스타팅스트렝스 : 바벨훈련의 첫걸음(마크리피토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