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화 신은 사람들

[체육 관련 진로 및 직업 3편] 운동 심리학과 진로 본문

_Story/교육

[체육 관련 진로 및 직업 3편] 운동 심리학과 진로

쌤스토리 2020. 4. 9. 11:02
반응형

스포츠심리학을 공부한 후 가질 수 있는 직업에는 스포츠 전문 상담사, 멘탈 트레이너, 스포츠 기자 등이 있다.

 

1. 스포츠 심리 전문 상담사
스포츠 심리 전문 상담사는 선수가 겪는 개인전 고민, 경기력 저하 원인, 슬럼프 등에 대해 전문적인 상담을 해 준다. 스포츠 선진국의 경우 프로구단이나 개인 선수가 스포츠 전문 상담사를 고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면,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는 스포츠 전문 상담사인 브란자와 전속 계약을 맺어 필요할 때 상담을 받고 있다. 미국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때 전문 상담사를 100여명 정도 파견했으며 우리나라도 10여 명의 전문 상담사가 활동했었다. 
스포츠 심리 상담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하며 대학원에서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해야 한다.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에서는 소정의 교육을 거쳐 1~3급의 스포츠 심리 상담 자격증을 부여하고 있다. 스포츠 심리 전문 상담사는 스포츠와 관련하여 심리학적 평가 및 선수들의 고민이나 문제점을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조언자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스포츠 심리 상담원은 주로 공개 채용이나 특별채용을 통해 스포츠와 관련된 기업이나 상담 심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취업을 하게 된다. 스포츠 종목별 프로 구단이나 기업, 심리 상담소, 스포츠 전문 병원, 재활 전문 병원 등 상담과 관련된 회사에 취업을 할 수 있다. 지역의 상담 복지 센터나 한국청소년복지개발원 등 공공 기관에 취업을 할 수 있다.

 

 

2. 개인 심리 트레이너
개인 심리 트레이너는 자격증을 소지하고 선수를 개인적으로 상담해 주고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사람이다. 지금까지 트레이너는 주로 스포츠 현장에서 신체 훈련을 담당하는 일을 해 왔다. 그러나 심리 트레이너는 신체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룬다. 개인 트레이너는 선수의 목표설정, 자신감 회복, 동기 유발, 스트레스 해소, 대화기술, 각성 조절, 집중력 등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한다. 심리 트레이너는 선수의 잠재력과 기질을 갈고 닦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심리 트레이너는 선수의 시합 장면을 관찰 검토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상담함으로써 경기력을 최대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3. 스포츠 심리 연구원
스포츠 심리 연구원은 스포츠 상황에서 인간의 다양한 행동과 정신적 과정을 과학적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그 연구 결과를 현장에서 지도자들이 응용할 수 있도록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포츠 심리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인간 행동을 객관적으로 관찰, 분석하고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인간의 심리를 연구하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인간의 복잡한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북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가 요구되는 직업이다.

반응형
Comments